수영농청놀이 소리
페이지 정보
작성자 수영민속협회
본문
영각수의 집합 신호에 따라 농악대가 잠시 동안 '캥자 캥자 캥자 캐캥' 4장단에 맞추어 흥겹게 농악을 울린다. |
『 풀노래 』 ㉮ 곤달비야 곤달비야~ 잘매산 곤달비야~
톳곡산을 넘지마라~
까마구야 까마구야~ 잘매산 갈까마구야~
은재놋재 단재수재 단단히 가리물고~
굵은솔밭 지내가이 잔솔밭을 자라드네~
㉯ 에~
딸아딸아 내딸봉덕아 어데로갔나~
열아홉살묵는 과부가~ 스물아홉살묵는 딸을잃고
잘매산 모퉁이를 돌아가면서 내딸봉덕아 어데로갔나~
이후후후후~
㉰ 에~
딸아딸아 내딸봉덕아 어데로갔나~
열아홉살묵는 과부가~ 스물아홉살묵는 딸을잃고
딸찾으러 올러간다~
올러가다 올러가다~ 공달패기 미끄러져서~
아파도울고 섧어도울고~ 내딸봉덕아 어데로갔나~
이후후후후~
|
풀베기 소리를 다 부르고 나면 남녀 농청원들은 농악 가락에 맞추어 춤을 추며 입장한다. |
『 가래소리 』 앞소리 뒷소리
(01) 어화 가래야 (어화 가래야)
(02) 이가래로 (어화 가래야)
(03) 물을 모으자 (어화 가래야)
(04) 시내거렁에 (어화 가래야)
(05) 보를막고 (어화 가래야)
(06) 봇도랑치고 (어화 가래야)
(07) 논둑을모우고 (어화 가래야)
(08) 이논에다 (어화 가래야)
(09) 물을넣어면 (어화 가래야)
(10) 금년농사는 (어화 가래야)
(11) 대풍년진다 (어화 가래야)
(12) 앞에는땡기고 (어화 가래야)
(13) 뒤에는밀고 (어화 가래야)
(14) 밀고땡기고 (어화 가래야)
(15) 잘도한다 (어화 가래야)
(16) 어떤사람은 (어화 가래야)
(17) 팔자좋아 (어화 가래야)
(18) 버선신발을 (어화 가래야)
(19) 곱게하고 (어화 가래야)
(20) 삭가래짚으며 (어화 가래야)
(21) 논둑을다니는데 (어화 가래야)
(22) 이놈팔자 (어화 가래야)
(23) 무슨죄로 (어화 가래야)
(24) 이고생이 (어화 가래야)
(25) 웬말인고 (어화 가래야)
(26) 어화 가래야 (어화 가래야)
|
내방청원들은 흰 치마저고리를 차려 입고 머리에는 수건을 쓴다. |
『 모찌기소리 』 (앞소리) 일월이 돋아와도 이실갤줄 모르더라
(뒷소리) 맹홧대를 꺽어들고 이실털로 가자시라
(앞소리) 한강에다 모를부아 모찌기도 난감하네
(뒷소리) 하늘에다 목캐갈아 목캐따기 난감하네
(앞소리) 사공아 배돌리라 우리동생 보러가자
(뒷소리) 너거동생 무슨죄로 절도섬에 기양갔노
(앞소리) 한재야한섬 모를부아 잡나랙이 절반일세
(뒷소리) 성안성밖에 첩을두니 기생첩이 절반일세
(앞소리) 바다겉은 이못자리 장구판만 남았구나
(뒷소리) 장구야판은 좋다마는 장구떨니 누있던고
(앞소리) 밀치라 닥치라 모두잡아 훌치소
(뒷소리) 영해영천 초목에 호미손만 놀리소
|
모찌기가 끝나면 내방청원들은 "캥자 캥자 캥자 캐갱" 장단에 맞추어 춤을 추며 일단 바깥쪽으로 나오고 그 사이에 남자들은 바지게에다 모춤을 지고 가서 모를 베룬다. |
『 모심기 소리 』 (앞소리) 이논에다(이) 모를숨거 금실금실 영화로세
(뒷소리) 우리야부모 산소등에 솔을숨거 영화로세
(앞소리) 서울이라(이) 남정자야 점슴참이 늦어오네
(뒷소리) 미나리야(이) 시금초를 맛본다고 더디오네(이)
(앞소리) 사래짓고(이) 장찬밭에 목캐따는 저처녀야(이)
(뒷소리) 목캐꽃은(이) 지색인데 처자얼굴 철색지네(이)
(앞소리) 저게가는(이) 저구름은 우연신선 타고가노(이)
(뒷소리) 대국이라 천자국에(이) 노던신선 타고가네
(앞소리) 서울이라(이) 왕대밭에(이) 금비들기 알을낳여(이)
(뒷소리) 그알한개 주었으머 금년과게(이) 내할꾸로
(앞소리) 머리야좋다 수답처녀 올뽕낭게 앉아우네(이)
(뒷소리) 울뽕돌뽕 내따주께 백년살이 내캉살자(이)
(앞소리) 맹화야 넌들끝에(이) 후여하는 저새보소(이)
(뒷소리) 니아무리 후여한들(이) 님본새가 날라가나(이)
(앞소리) 알금살금 꿉은독에 눌리떴다 금청주야(이)
(뒷소리) 팔모야깍은 유리잔에 나비야한쌍 잔질하네(이)
(앞소리) 청주뜨고 약주뜨고 국화정자로 놀러가자
(뒷소리) 모시야적삼 안섶안에 분통겉은 저젖보소(이)
(앞소리) 많이야보면 병나는데 담배씨만큼 보고가소
(뒷소리) 주천당앞을 지내치니 아니묵어도 술내나네(이)
(앞소리) 설설이 어데갔노
(뒷소리) 설설이 산에갔네
(앞소리) 이뜽들 볼라더니
(뒷소리) 오거들랑 보고가소
(앞소리) 담장안에(이) 숨근화초 담장밖을 후아넘네(이)
(뒷소리) 질로가는 호걸양반(이) 그꽃보고 질안가네(이)
(앞소리) 사공아 배돌리라 우리동생 보러가자(이)
(뒷소리) 너거동생 무슨죄로(이) 절도섬에 기양갔노
(앞소리) 서울이라(이) 유담안에 해달뜨는 기겅가세(이)
(뒷소리) 상주땅 홍골못에 잉어노는 구경가자(이)
(앞소리) 해다지고 저문날에(이) 우연행상 떠나가노(이)
(뒷소리) 이태백이 본처죽고(이) 이벨행상 떠나가네(이)
(앞소리) 서울갔던 선부네야(이) 우리선부 안오드냐(이)
(뒷소리) 오기야 오건마는 칠성판에 실려오네(이)
(앞소리) 오늘해가 요만되머 산꼴마다 연기나네(이)
(뒷소리) 우리야부모님 어데가고이 연기낼줄 모르는고
(앞소리) 이물끼저물끼 헐어놓고이 주인네양반 어데갔노
(뒷소리) 문대야전복 손에들고 첩새야집에 놀러갔네(이)
(앞소리) 퐁당퐁당 차수지비 사우야판에 다올랐네
(뒷소리) 해미년은 어데가고 딸년을 시깄던공
(앞소리) 독장사 독을지고 쿵쿵절사로 넘어간다
(뒷소리) 판장사 판을지고 막판절사로 넘어간다
(앞소리) 막우자 막우자 이논배미를 막우자
(뒷소리) 막우자 막우자 각기장판을 막우자
|
도리깨타작소리는 목도록깨꾼이 앞소리를 메기고 종도리깨꾼들이 뒷소리를 받는 방식, 즉 선후창식으로 부르는데 일의 걍약에 따라 노래의 강약도 조절된다 |
『 도리깨타작소리 』 ㉮ 어화 (후렴) 어화
(01) 때려라 (어화)
(02) 보리보고 (어화)
(03) 때려라 (어화)
(04) 이삭이 (어화)
(05) 안붙거로 (어화)
(06) 야무치기 (어화)
(07) 때려라 (어화)
(08) 돌리잡고 (어화)
(09) 깻단을보고 (어화)
(10) 때리라 (어화)
(11) 궁딩이는 (어화)
(12) 모우고 (어화)
(13) 도리깨는 (어화)
(14) 벌리라 (어화)
엇쥬 (후렴) 엇쥬(이하 같음)
(15) 뒷걸음을 (엇쥬)
(16) 쳐라 (엇쥬)
(17) 보릿대가 (엇쥬)
(18) 나간다 (엇쥬)
(보리타작이 한창일 때는 뒷소리를 '엇쥬'로 받는다.)
㉯ 어화 (후렴) 어화(이하 생략)
(01) 여게봐라 (어화)
(02) 핫바지 (어화)
(03) 너도묵고 (어화)
(04) 홋바지 (어화)
(05) 나도묵고 (어화)
(06) 한발짝 (어화)
(07) 나서고 (어화)
(08) 두발짝 (어화)
(09) 물러서라 (어화)
(10) 궁딩이는 (어화)
(11) 모우고 (어화)
(12) 도리깨는 (어화)
(13) 벌려라 (어화)
(14) 이보리는 (어화)
(15) 양반에 (어화)
(16) 집에서 (어화)
(17) 자랐나 (어화)
(18) 셈지는 (어화)
(19) 왜이래 (어화)
(20) 질었나 (어화)
(21) 엇쥬 (후렴) 엇쥬(이하 같음)
|
농사일들 중에서 농청이 가장 활발하게 움직였던 것이 논매기 였다고 한다. |
『 김매기소리 』 앞소리 뒷소리
(01) 에 ~ 헤 ~ 아 ~ 아 ~ 에 ~ 헤 ~ 아 ~ 아 ~
(02) 양운폭포 이른구름 에 ~ 헤 ~ 아 ~ 아 ~
(03) 해운모아 돌아드니 에 ~ 헤 ~ 아 ~ 아 ~
(04) 온정리는 명승지요 에 ~ 헤 ~ 아 ~ 아 ~
(05) 가인재사 놀던데요 에 ~ 헤 ~ 아 ~ 아 ~
(06) 해운대 동백섬은 에 ~ 헤 ~ 아 ~ 아 ~
(07) 고운선생 놀던데요 에 ~ 헤 ~ 아 ~ 아 ~
(08) 장산의 최고봉은 에 ~ 헤 ~ 아 ~ 아 ~
(09) 흑운찾어 솟아있고 에 ~ 헤 ~ 아 ~ 아 ~
(10) 가마산하 절영도는 에 ~ 헤 ~ 아 ~ 아 ~
(11) 창해뼈가 놀아있다 에 ~ 헤 ~ 아 ~ 아 ~
(12) 감포진 최영문에 에 ~ 헤 ~ 아 ~ 아 ~
(13) 해마다 봄이오고 에 ~ 헤 ~ 아 ~ 아 ~
(14) 포이만호 전선터에 에 ~ 헤 ~ 아 ~ 아 ~
(15) 임자없는 빈배들이 에 ~ 헤 ~ 아 ~ 아 ~
(16) 달만가득 실어있다 에 ~ 헤 ~ 아 ~ 아 ~
(17) 석양비낀 양창로로 에 ~ 헤 ~ 아 ~ 아 ~
(18) 신선대 찾아가니 에 ~ 헤 ~ 아 ~ 아 ~
(19) 신선이 양재호로 에 ~ 헤 ~ 아 ~ 아 ~
(20) 빈대홀로 뿐이로다 에 ~ 헤 ~ 아 ~ 아 ~
(21) 만경창파 십리에 에 ~ 헤 ~ 아 ~ 아 ~
(22) 날아오고 놀던백구 에 ~ 헤 ~ 아 ~ 아 ~
(23) 황혼에 집을찾아 에 ~ 헤 ~ 아 ~ 아 ~
(24) 민락교변 갈대밭에 에 ~ 헤 ~ 아 ~ 아 ~
(25) 흰빛으로 날아든다 에 ~ 헤 ~ 아 ~ 아 ~
(26) 청산을 하일배하고 에 ~ 헤 ~ 아 ~ 아 ~
(27) 운리에 득명이라 에 ~ 헤 ~ 아 ~ 아 ~
(28) 번락창해 하였으니 에 ~ 헤 ~ 아 ~ 아 ~
(29) 초수어옹이 상응호라 에 ~ 헤 ~ 아 ~ 아 ~
(30) 꺼꾸러져 장관이다 에 ~ 헤 ~ 아 ~ 아 ~
(31) 일편 서경월에 에 ~ 헤 ~ 아 ~ 아 ~
(32) 요란한 모애성은 에 ~ 헤 ~ 아 ~ 아 ~
(33) 혜왕성 깨트리고 에 ~ 헤 ~ 아 ~ 아 ~
(34) 규중에 수탉소리 에 ~ 헤 ~ 아 ~ 아 ~
(35) 새벽을 보하는데 에 ~ 헤 ~ 아 ~ 아 ~
(36) 서창하여 비등이요 에 ~ 헤 ~ 아 ~ 아 ~
(37) 북창외에 홍아여라 에 ~ 헤 ~ 아 ~ 아 ~
(38) 금연산 꽃봉속에 에 ~ 헤 ~ 아 ~ 아 ~
(39) 마하반야 천년고찰 에 ~ 헤 ~ 아 ~ 아 ~
(40) 석가여래 자비심은 에 ~ 헤 ~ 아 ~ 아 ~
(41) 고금에 통하여라 에 ~ 헤 ~ 아 ~ 아 ~
(42) 옥녀봉탕 금성이 에 ~ 헤 ~ 아 ~ 아 ~
(43) 배산에 잔잔하다 에 ~ 헤 ~ 아 ~ 아 ~
(44) 이내한몸 무슨팔자로서 에 ~ 헤 ~ 아 ~ 아 ~
(45) 온여름 덥운날에 에 ~ 헤 ~ 아 ~ 아 ~
(46) 무슨팔자 죄로지아 에 ~ 헤 ~ 아 ~ 아 ~
(47) 진풀밭에 고생하나 에 ~ 헤 ~ 아 ~ 아 ~
(48) 앞두룸에 행수님네 에 ~ 헤 ~ 아 ~ 아 ~
(49) 뒷두룸에 집강행수 에 ~ 헤 ~ 아 ~ 아 ~
(50) 뺑뺑돌아 돌아가소 에 ~ 헤 ~ 아 ~ 아 ~
(51) 돌가지돌가지에 쌈을싸소 에 ~ 헤 ~ 아 ~ 아 ~
오 ~ 아 ~ 오 ~ 우 ~ 슬기여 오 ~ 아 ~ 오 ~ 우 ~ 슬기여
|
서부 사람들은 통곡 하고 동부패들은 함성을 지른다. |
『 칭칭소리 』 앞소리 뒷소리 (01) 치기나칭칭 나아네 치기나칭칭 나아네
(02) 하늘에는 별도많고 치기나칭칭 나아네
(03) 운다운다 닭이운다 치기나칭칭 나아네
(04) 동방이 밝아온다 치기나칭칭 나아네
(05) 우리농청 행수님이 치기나칭칭 나아네
(06) 영각수를 불러내어 치기나칭칭 나아네
(07) 모이라고 불게하네 치기나칭칭 나아네
(08) 앞집에 손대롱도 치기나칭칭 나아네
(09) 뒷집에 도생원도 치기나칭칭 나아네
(10) 앞을다투어 나온다 치기나칭칭 나아네
(11) 가자가자 일터로가자 치기나칭칭 나아네
(12) 오늘도 시작이다 치기나칭칭 나아네
(13) 농사일에 몰두하니 치기나칭칭 나아네
(14) 어느새라 해가진다 치기나칭칭 나아네
(15) 하늘에는 별이총총 치기나칭칭 나아네
(16) 밤땅에는 이슬이방울 치기나칭칭 나아네
(17) 오늘일도 끝이났다 치기나칭칭 나아네
(18) 가세가세 집으로가세 치기나칭칭 나아네
(19) 고달푸다 고달푸다 치기나칭칭 나아네
(20) 고생끝에 풍년이오네 치기나칭칭 나아네
(21) 농자는 천하지대본 치기나칭칭 나아네
|